
더본코리아 대표 백종원는 최근 김재환 PD와 마찰을 빚으며 모든 방송의 하차를 선언하고, 제품 품질, 위생, 식재료 원산지 허위광고 등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의혹에 대해 추가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말이 많을까요? 연일 각종 매체를 가득 채우고 있는 백종원 관련 사건의 발단, 진행과정을 정리했습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관련 사건 정리 (2024년 12월~2025년 5월)
1. 사건의 발단
- 2024년 12월 말, 한 언론사의 단독 보도로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의 외식 브랜드 운영과 관련해 문제 제기가 시작됨
- 2025년 5월 초, 전직 MBC 교양국 김재환 PD가 유튜브와 언론을 통해 백종원의 방송 갑질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함. 주요 내용은 출연진을 불편하게 만들고, 특정 연출을 강요받았다는 주장
2. 논란의 확산 및 주요 진행 과정
- 김재환 PD는 백종원이 방송 제작 현장에 과도하게 개입하고, 자신이 지명한 제작 인력만을 요구하는 등 권한을 남용했다고 주장
- PD는 백종원과의 실제 대화 녹취를 유튜브 영상으로 공개함. 백종원은 "왜 그렇게 못살게 구냐? 내가 뭘 잘못했는지 얘기해봐"라고 호소했고, PD는 "감정적으로 판단한 부분도 있다"고 인정
- 2025년 5월 3일, 백종원은 프랑스에서 '장사천재 백사장3' 촬영을 마치고 귀국, 인천공항에서 김재환 PD와 직접 대면하여 4시간 30분 넘게 대화를 나눔
- 이 자리에서 백종원은 "저도 억울한 게 많다. 하지만 아직 가만히 있지 않냐"고 토로했고, 김 PD는 "점주들이 얼마나 억울하겠냐"고 맞섬. 백종원은 "점주들 이야기가 왜 나오냐"고 반문
- 김재환 PD는 대화 녹음 사실을 뒤늦게 알렸고, 일부 녹취록을 공개함. 백종원은 "나는 진실되게 살았다. 참고만 해달라"고 밝혔음
- 김재환 PD는 인터뷰 전문을 5월 12일 공개하겠다고 예고
3. 백종원 공식 사과 및 방송 하차 선언
- 2025년 5월 6일, 백종원은 유튜브와 보도자료를 통해 세 번째 공식 사과문을 발표. "모든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하겠다"고 선언
- 사과문에서 "방송인으로서의 활동이 누군가에게 상처가 됐다면 내 책임"이라며 "뼈를 깎는 각오로 조직을 쇄신하겠다"고 밝힘
4.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등 추가 조사
- 경찰은 더본코리아의 제품 품질, 위생, 식재료 원산지 허위광고 등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의혹에 대해 추가 수사에 착수. 백종원과 더본코리아 법인 모두 입건되어 조사 중임
김재환 PD는 누구인가요?
김재환 PD는 MBC 교양국에서 시사·교양 프로그램도 다수 제작한 경력이 있습니다. 그가 제작한 프로그램과 백종원이 출연한 방송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루맛쇼 (2011, 영화·페이크 다큐멘터리)
- MB의 추억 (2012, 다큐멘터리 영화)
- 쿼바디스 (2014, 다큐멘터리 영화)
- 마이 리틀 텔레비전 (2015, MBC 예능) - 백종원 출연
- 자백 (2016, 다큐멘터리 영화, 프로듀서)
- 백종원의 골목식당 (2018~2021, SBS 예능) - 백종원 출연
백종원과 PD(김재환 PD)의 첫 번째 충돌은 2015년 MBC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 출연 이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재환 PD는 2025년 4월 21일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에서, 백종원이 '마리텔'로 방송계에서 거물급으로 부상한 뒤부터 방송사에 자신이 지명한 작가팀과 촬영팀을 투입하라고 요구하는 등 무리한 요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때부터 PD와의 갈등, 제작진 교체, 출연자 하차 요구 등 방송 현장에서의 마찰이 발생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즉, 공식적으로 언론에 드러난 첫 번째 충돌의 시점은 2015년 '마이 리틀 텔레비전' 출연 이후이며, 구체적인 폭로와 논란은 2025년 4월 21일 김재환 PD의 유튜브 영상 공개를 통해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더본코리아에 제기된 논란
2024년 12월 말, 한 언론사의 단독 보도로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의 외식 브랜드 운영과 관련해 제기된 구체적인 문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설 명절 선물세트 가격 부풀리기 및 허위 할인 논란
더본코리아가 설 명절을 앞두고 출시한 ‘빽햄 선물세트’ 등 일부 제품에 대해 정상가를 부풀린 뒤 할인 판매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를 현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허위 할인 표시로 소비자 기만에 해당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2. 원산지 표기 위반 및 식품 위생 문제
더본코리아가 판매하는 간장, 된장 등 농산물 가공품의 원산지를 허위로 표기한 혐의로 형사 입건되는 등 원산지 관리에 허점이 드러났습니다. 감귤 맥주 등 일부 제품의 재료 함량 표시 문제, 프랜차이즈 주점의 낙지볶음 메뉴 등에서도 원산지표기법 위반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3. 점주와의 상생 논란 및 폐점 증가
2022~2024년 3년간 더본코리아의 25개 외식 브랜드에서 581개 점포가 폐점한 것으로 드러나, 본사만 이익을 챙기고 점주와의 상생은 뒷전이라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R&D 투자 부족, 임원 중심의 스톡옵션 배분 등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4. 임원 및 조직 문화 관련 논란
더본코리아 임원이 2차 점주 모집 면접 과정에서 여성 지원자에게 술자리를 요구하고, 사적인 질문을 하는 등 부적절한 행태가 녹취를 통해 공개돼 ‘술자리 면접’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해당 임원은 백종원 대표와의 친분, 유튜브 출연 경험 등을 과시하며 인사 전권을 주장하는 등 조직 문화에 대한 우려도 커졌습니다.
5. 공공사업 특혜 및 브랜드 신뢰도 하락
군산시와의 외식산업개발원 사업에서 공공재산을 사실상 민간기업에 헐값에 넘긴 것 아니냐는 특혜 논란이 일었고, 더본코리아의 브랜드 신뢰도 하락과 주가 급락으로 이어졌습니다.
6. 경영 투명성·내부통제 미흡 지적
상장 이후에도 내부 시스템 미비, 원산지 관리 체계 부실, 외부 감시 미흡 등 경영 투명성과 내부통제에 대한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지적됐습니다. 백종원 대표는 주주총회와 사과문을 통해 “경영자로서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지 못한 점을 반성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2024년 12월 말 언론 보도를 계기로 더본코리아의 가격 정책, 원산지 및 위생 관리, 점주와의 상생, 조직 문화, 공공사업 특혜, 경영 투명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가 연이어 불거지며 대대적인 논란이 촉발됐습니다.

시간순 핵심 정리
시기
|
주요 사건 및 발언
|
2024년 12월
|
언론 보도로 더본코리아 운영 관련 문제 제기 시작
|
2025년 5월 초
|
김재환 PD, 유튜브 통해 백종원 방송 갑질 의혹 공개
|
2025년 5월 3일
|
백종원, 프랑스 촬영 후 귀국, 김재환 PD와 인천공항서 4시간 30분 대화
|
|
백종원: "저도 억울한 게 많다. 하지만 아직 가만히 있지 않냐"
|
|
김 PD: "점주들이 얼마나 억울하겠냐"
|
|
백종원: "점주들 이야기가 왜 나오냐"
|
|
김 PD, 대화 녹음 사실 뒤늦게 공개, 일부 녹취록 유튜브에 업로드
|
2025년 5월 6일
|
백종원, 공식 사과 및 모든 방송활동 중단 선언
|
2025년 5월 7일~
|
경찰,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등 추가 수사 착수
|
2025년 5월 8일
|
김재환 PD, 백종원과의 대화 영상 유튜브에 공개. 인터뷰 전문 12일 공개 예고
|

마치며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더본코리아와 백종원 대표를 둘러싼 논란은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 2025년 10월 공개 예정이었던 흑백요리사 시즌2 공개여부도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본코리아는 상장 이후 2024년 11월 상장 이후 수많은 논란에 휩싸이며 내리 주가가 하락하며 현재는 -6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리에 대한 진정성으로 많은 팬을 가졌던 백종원 대표는 이 상황을 잘 헤쳐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존경할만한 어른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또 한명의 후보가 사라질지, 지혜롭게 해결하며 더욱 성장해 위인으로 등극할지 저는 매우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