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장동향

Hyperliquid 생태계에서 수익률을 높이는 파밍 전략 10가지

반응형

 

Hyperliquid는 2024년 말, $HYPE 토큰을 90,000명 이상에게 에어드롭하면서 대규모 부(富)를 창출한 프로젝트입니다. 퍼프(Perps) 거래소로 주목을 받았지만, 최근에는 HyperEVM 기반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생태계 보상 시스템이 활발히 작동 중입니다. 현재 유동성이 얕고, 참여자가 적은 초기 단계로, 높은 수익률과 추가 토큰 배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Hyperliquid 생태계에서 파밍을 통해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 10가지를 소개합니다.

 

1. KittenSwap – ve(3,3) 기반 HyperEVM의 핵심 DEX

  • 투자 방식:
    1. https://app.kittenswap.finance 에 접속
    2. PURR/HYPE, USDXL/HYPE 등 높은 보상 풀에 유동성 공급
    3. LP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포인트 획득
    4. MechaCats NFT 보유 시 최대 1.5배 포인트 배수 적용
  • 장점:
    • 20배 포인트 멀티플라이어 존재
    • 생태계 핵심 런치패드 역할
  • 리스크:
    • TVL이 높아지면 포인트 희석
    • NFT가 없으면 최대 효율 미달

 

2. HypurrFi – 레버리지 대출 + USDXL 스테이블 수익

  • 투자 방식:
    1. https://app.hypurr.fi 접속
    2. $HYPE 예치 → USDXL 차입
    3. USDXL을 KittenSwap 등에서 LP로 활용
    4. USDXL 보유나 대출만으로도 보상 가능
  • 장점:
    • USDXL 기반 스테이블 수익 가능
    • 점수 시스템 상시 가동
  • 리스크:
    • 과도한 레버리지 주의
    • USDXL 가치 유지가 중요

 

3. HyperLend – HyperEVM의 기본 대출 프로토콜

  • 투자 방식:
    1. https://app.hyperlend.finance 접속
    2. HYPE, LHYPE, USDXL 등을 예치
    3. 차입 및 예치 시 포인트 자동 누적
    4. 일일 XP 획득 및 XP → 포인트 전환
  • 장점:
    • TVL 캡 조기 진입자에게 유리
    • 리퍼럴, NFT 등으로 보상 배수
  • 리스크:
    • 늦게 진입하면 포인트 급감
    • TVL 변화에 따른 전략 변경 필요

 

4. Felix Protocol – feUSD 기반 청산형 스테이블 전략

  • 투자 방식:
    1. https://usefelix.xyz/borrow 에서 $HYPE 예치 → feUSD 발행
    2. feUSD를 Stability Pool에 예치하여 청산 시 HYPE 할인 수령
    3. feUSD/HYPE, feUSD/USDXL 풀에 유동성 공급
  • 장점:
    • 청산 보상 + DEX 수익 동시 가능
    • 다양한 프로토콜과 연동
  • 리스크:
    • 청산 타이밍 불확실
    • feUSD 유동성 미성숙

 

5. Mizu Labs – 하이퍼EVM 자동 파밍 통합 플랫폼

  • 투자 방식:
    1. ETH/BTC 예치 → hypeETH/hypeBTC로 변환
    2. 자동으로 여러 프로토콜에 분산 예치
    3. Hyperbeat, HypurrFi, Felix 등 파트너 보상 연계
  • 장점:
    • 완전 수동형 전략
    • 최대 8개 프로토콜 보상 자동 집계
  • 리스크:
    • Vault 수수료 및 스마트컨트랙트 위험
    • 리워드 추적이 어렵거나 지연될 수 있음

 

6. Drip.Trade – NFT 중심 마켓플레이스 (미상장 토큰 가능성)

  • 투자 방식:
    1. HypioHL, MechaCats, HypersonHL 등 컬렉션 구매 및 보유
    2. 주기적 거래 (매도, 재상장)로 활동 유지
  • 장점:
    • 파트너 에어드롭 수령 가능성
    • 일부 NFT는 다른 프로토콜과 연동되어 배수 제공
  • 리스크:
    • 공식 토큰 없음 (미확정)
    • NFT 유동성 낮음

 

7. Hyperbeat – 벨리데이터 기반 수동형 파밍

  • 투자 방식:
    1. $HYPE 스테이킹 → Hearts 포인트 획득
    2. Vault 선택: ETH/BTC/스테이블 기반
    3. 자동으로 10개 이상 파트너 보상 수령
  • 장점:
    • 오토 배포, 수동 관리 없음
    • 심플한 진입 구조
  • 리스크:
    • 리워드 가치 예측 어려움
    • 상대적으로 수익률 낮을 수 있음

 

8. HyperSwap – 저슬리피지 DEX + 파트너 연계 보상

  • 투자 방식:
    1. https://hyperswap.app 에서 LP 예치 및 스테이킹
    2. USDXL, feUSD, KEI 등 파트너 풀 중심 구성
    3. NFT 및 추천 보상 활성화
  • 장점:
    • 포인트 순수 사용량 기반
    • NFT, veToken 보유 없이도 가능
  • 리스크:
    • DEX 자체 수요 부족 시 리워드 감소
    • 상대적으로 작은 풀 위주

 

9. Looped HYPE – 패시브 레버리지 + 장기 리베이스

  • 투자 방식:
    1. LHYPE 민팅 (스왑 불가)
    2. 8주 이상 보유 + KittenSwap, Felix 등 연동 사용
    3. 자동 리베이스 및 멀티 프로토콜 보상
  • 장점:
    • 7% 토큰 할당으로 에어드랍 기대
    • 수동형 장기 전략
  • 리스크:
    • 중도 이탈 시 보상 손실
    • 초과 민팅 시 희석 가능성

 

10. $HYPE 스테이킹 – 가장 간단한 참여 전략

  • 투자 방식:
    1. Hyperliquid에 HYPE 입금 후 스테이킹
    2. HypurrCollective 등 검증자에 위임
    3. $SENT, $TIME 등 파트너 에어드롭 수령
  • 장점:
    • 가장 간단한 진입 방법
    • 최소 참여로 보상 가능
  • 리스크:
    • 스테이킹만으로는 큰 수익 기대 어려움
    • 액티브 전략 대비 기회 비용 발생

 

결론: 초기 HyperEVM은 저평가된 기회

대다수의 파밍 풀은 TVL이 낮고 보상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초기 진입자에게 유리합니다. KittenSwap, HypurrFi, HyperLend는 수익률, 생태계 연동성, 보상 구조 측면에서 핵심이며 토큰 보유, 스테이블 운용, NFT 활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포인트를 누적함으로써 배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최적 전략의 조합을 예시로 든 것입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 수익의 기회를 늘려보시기 바랍니다.

 

💡 최적 전략 조합의 예시 :

  1. $HYPE → USDXL 차입 (HypurrFi)
  2. USDXL → KittenSwap LP → 스테이킹
  3. 보너스로 MechaCats NFT 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