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젝트 비전과 핵심 문제의식
Ritual은 2023년 Niraj Pant와 Akilesh Potti가 공동 창업한 탈중앙화 AI 인프라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소수 대기업이 독점하는 AI 기술 생태계를 개방형 구조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현재 AI 산업의 중앙화 문제(OpenAI, Google 등 플랫폼 의존성), 데이터 프라이버시 취약성, 검열 저항성 부재 등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했습니다. Ritual은 AI 모델 개발·배포·사용 전 과정을 탈중앙화해 누구나 자유롭게 혁신에 참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2. 기술 아키텍처와 핵심 서비스
2-1. Ritual Superchain: 모듈형 AI 실행 레이어
Ritual의 백본은 EVM 호환 커스텀 가상 머신(VM)을 기반으로 한 모듈형 실행 레이어 시스템입니다. 이 구조는 AI 특화 작업(추론, 파인튜닝, 지식 추출 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다중 계층 구조: Layer 0(인터체인 통신), Layer 1(코어 AI 연산), Layer 2(확장 솔루션)로 구성되어 유연한 확장성 제공
- Stateful Precompiles(SPC): AI 특화 스마트 계약으로, 복잡한 머신러닝 작업을 온체인에서 처리
- General Message Passing(GMP): 이더리움, 솔라나 등 다양한 블록체인과의 상호운용성 보장
2-2. Infernet: 탈중앙화 AI 오라클 네트워크
2023년 11월 출시된 Infernet은 8,000개 이상의 독립 노드로 구성된 AI 추론 전용 오라클 네트워크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뢰 없는 검증 구조: Zero-Knowledge Proofs(ZKP)와 TEE(신뢰 실행 환경)를 결합해 연산 무결성 보장
- 실시간 스트리밍: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점진적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전송
- 온체인 결제 시스템: $RITUAL 토큰을 활용한 자동화된 사용자-노드 간 결제 프로토콜
2-3. 주요 파트너십과 기술 통합
- Nillion: MPC(다자간 계산) 기술 통합으로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
- Celestia: 모듈형 데이터 가용성(DA) 레이어를 통해 대규모 AI 데이터 처리 효율화
- EigenLayer: 이더리움 재스테이킹을 활용한 네트워크 보안 강화
3. 투자 현황과 성장 전략
Ritual은 2023년 11월 Archetype Ventures 주도로 2,500만 달러 시리즈A를 성공적으로 마감했습니다. 주요 투자자로는 Accomplice, Robot Ventures, CoinFund 등이 참여했으며, 2024년 4월 Polychain Capital로부터 추가 자금을 유치했습니다. 자금은 주로 다음 분야에 투입됩니다.
- 글로벌 노드 네트워크 확장: 2025년 목표 노드 수 15,000개(현재 8,000개)
- 개발자 생태계 구축: SDK(Software Development Kit)와 API 문서화 강화
- AI 모델 레지스트리 구축: Hugging Face와 유사한 오픈소스 모델 저장소 운영
4. 팀 구성과 어드바이저 네트워크
- Niraj Pant(공동 창업자): 전 Polychain Capital GP, 블록체인 투자 분야 전문가
- Akilesh Potti(공동 창업자): 팔란티어(Palantir) 머신러닝 엔지니어 출신
- Illia Polosukhin(어드바이저): NEAR 프로토콜 공동 창업자, AI-블록체인 융합 분야 선구자
- Arthur Hayes(어드바이저): BitMEX 창립자, 탈중앙화 금융 인프라 전문가
5. TGE(토큰 생성 이벤트) 전략과 참여 방법
Ritual은 2025년 2분기를 목표로 TGE를 준비 중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인센티브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fernet 노드 운영: 일반 사용자가 GPU 리소스를 제공하고 $RITUAL 토큰 보상 획득
- AI 모델 기여 프로그램: 오픈소스 모델 개발자에게 토큰 할당
- 테스트넷 버그 바운티: 보안 취약점 발견 시 최대 50,000달러 상당 토큰 지급
노드 운영을 위한 최소 사양은 NVIDIA RTX 3090 이상 GPU, 32GB RAM, 1Gbps 네트워크 연결입니다. VAST.AI 등 GPU 임대 플랫폼을 통한 간접 참여도 가능합니다.
6. 경쟁력과 미래 전망
Ritual의 핵심 경쟁력은 모듈형 아키텍처와 실제 사용 사례 확보에 있습니다.
- 다중 체인 호환성: 이더리움, 솔라나, 아발란체 등 주요 블록체인과의 원활한 통합
- 엔터프라이즈 적용 사례:
- 의료 분야: 환자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while AI 진단 모델 실행
- DeFi: AI 기반 리스크 관리 시스템(대출 프로토콜 자동 감시)
- 개발자 친화성: Python, Rust, Solidity 등 멀티 언어 SDK 제공
2025년 하반기 론칭 예정인 Ritual Sovereign Chain은 자체 가상 머신과 결합해 AI 특화 레이어1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클라우드 대비 60% 이상 저렴한 AI 추론 비용과 3배 이상 빠른 처리 속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7. 산업적 영향과 한계점
Ritual은 AI 민주화에 기여할 잠재력을 인정받았지만, 다음과 같은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 규제 환경: 미국 AI 안전 행정명령(2023년)에 따른 컴플라이언스 대응 필요
- 하드웨어 의존성: 고성능 GPU 공급망 확보 경쟁에서 중앙화 플랫폼과의 경쟁
- 에너지 효율성: 대규모 ZKP 생성에 따른 전력 소모 문제 해결 필요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Ritual은 2025년 기준 120개 이상의 DApp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AI-블록체인 융합 생태계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8. 더 많은 블록체인 AI 인프라 정보
아래 페이지를 방문하면 더 많은 블록체인과 AI를 결합한 탈중앙화 인프라 (Gensyn, Ritual, Hyperbolic, Prime Intellect, Kuzco, Chainbase)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과 AI를 결합한 탈중앙화 인프라 (Gensyn, Ritual, Hyperbolic, Prime Intellect, Kuzco, Chainbase)
AI 인프라 시장은 GPU 자원의 중앙화, 높은 비용, 접근성 한계 등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블록체인과 AI를 결합한 탈중앙화 인프라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zoozoobs.world
#AI인프라 #탈중앙화 #블록체인 #GPU네트워크 #TGE전략 #데이터레이어